부동산 & 경제/부동산

아파트 부부공동명의 장단점 양도소득세 종부세 등등 정보 공유

생각도둑 2021. 12. 20. 21:41
반응형

아파트 부부공동명의 장단점 양도소득세 종부세 등등 정보 공유를 간략하게 해 보겠습니다.

집을 살 때 단독명의로 해야 할지 아니면 부부가 공동명의로 해야 할지 어떤 것이 이득일지 고민이시라면... 잘 읽어보시고, 각자의 상황을 고려해 조금이라도 유리한 것으로 선택하시는 게 현명합니다.

 

하지만 정말 생뚱맞게 최근 결혼을 하면 무조건 여자 앞으로 집을 해줘야 한다던가 이런 일로 상담을 받고, 이혼을 고려한다는... 뭐 그런 말들을 자주 하는데요. 결혼을 이제 했는데... 재산이 누구 거며 어떤가요. 함께 평생을 함께하기로 해놓고, 누구 명의로 하는지가 왜 중요합니까. 저는 개인적으로 참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네요.

 

그리고 내년부터는 DSR의 실행으로 소득이 없으면 즉 갚을 능력이 없으면 대출도 안 나옵니다. 또 여러 가지 대출받은 금액들을 합산해 여부 및 금액이 정해지고 말이죠! 

말이 길었는데요.

아파트 부부공동명의 장단점 양도소득세 종부세 등등 정보 공유 어떤 장점과 어떤 단점 그리고 세금 부분에서 어떻게 달라지는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세금 부분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을 소유하게 되면 취득과 보유, 그리고 마지막 처분이라는 세 가지 단계가 존재합니다.

가장 처음 취득세 이것은 물건을 취득할 때 내는 세금입니다. 단독명의든 공동명의든 취득세는 동일합니다.

그리고 보유 중에 생기는 세금은 재산세와 종부세가 있습니다.

 

재산세도 단독이나 공동 동일합니다. 종부세는 공동명의가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이유는 1인 11억 원이 넘어가면 과세가 되지만 공동명의를 하게 된다면 1인당 6억 원씩 2인이면 12억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답니다.

 

이 말은 부동산 가격이 11억 원이 넘는 고가이거나 다주택자에게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7억짜리 집이 2채가 있다고 한다면... 단독명의로 2채가 있으면 11.4억으로 종부세 대상이 되지만 한 채는 공동명의를 통해 보유하게 되면 종부세 금액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가 됩니다.

마지막 처분 시 세금은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집을 오래 보유를 할 시 장기보유 특별공제라는 혜택이 있습니다.

이경우 단독명의의 경우는 혜택을 보겠지만 공동명의의 경우는 장기보유 특별공제 혜택이 없습니다.

이유는 한 채를 온전히 다 보유를 하지 않았다는 것에서 이죠!

 

만 60세 이상 5년 이상 주택을 보유했다면 단독명의로 신청 시 공제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고령 장기보유공제 5년~10미만년보유시 20% , 10년 이상~15년 미만 40% , 15년 이상은 50% 최대 80%까지 공제한도가 늘어날 수 있답니다. 

사실 장점이랄 것도 없고, 단점이랄 것도 없긴 합니다. 각 상황에 맞게 진행을 하면 될 텐데요.

일단 표면적으로 보이는 장점은 종부세 대상금액보다 1억 원이 더 유리하다는 점, 요거 하나밖에 없네요.

 

그리고 단점은 일단 귀찮다는 거 명의자가 2명이나 자금 차입을 할 때 부부여도 각각의 서류가 필요하고, 각각 같이 가야 하죠! 물론 한 명이 대리리 해도 되지만요. 장기보유 특별공제도 못받고, 둘중 한명이 신용이나 기타 문제가 생기면 자금 차입 부분에서도 문제가 생깁니다.

 

그래서 단독명의로 하시는 것이 이제는 종부세 금액이 11억까지 상승했기 때문에 공동명의 12억과 1억 차이로 이제 큰 금액차이도 없기 때문에 사실 공동명의는 번거롭기만 할 뿐이네요.

 

제가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의 이야기는 이것으로 마무리 짓겠습니다.

아파트 부부공동명의 장단점 양도소득세 종부세 등등 정보 공유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