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경제/경제 금융 주식

금융위원회 공적자금 회수율 21년 4분기 운용현황 우리금융지주 매각대금 회수 등

생각도둑 2022. 2. 8. 10:17
반응형

금융위원회 공적자금 회수율 21년 4분기 운용현황 우리 금융지주 매각대금 회수 등 관련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지난달 말 금융위원회 보도자료에 따르면 97년 11월부터 지난해까지 총 168조 7천억 원을 지원하였는데요.

지난해 말 기준 118조 5천억원이 회수가 되었다고 합니다.

공적자금 회수율은 70.3%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아래를 보시면 16년도 부터 회수율이 67.8%에서 조금씩 상승하기는 합니다.

그리고 지난해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 금융지주 매각대금의 경우는 총 9,133억 원을 회수하였다고 하는데요.

 

금융위원회 공적자금 회수율 21년 4분기 운용현황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공적자금이 처음 생긴것이 바로 IMF 시대인 97년도랍니다. 경제위기 이후에 금융기관 부실 정리를 위해서 정부보증 채권 등을 재원으로  공적자금이 조성이 되었는데요. 부실채권의 정리, 공공자금 관리기금, 국유재산 및 공공차관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출자금 등으로 재원이 조성되었죠!

 

그리고 최근이라고 할 수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미국의 유명한 금융회사들이 다들 나자빠졌죠! 리먼브라더스 들어 보셨죠? 또 모기지론 ...등등 그래서 2009년 두 번째 공적자금이 조성이 됩니다.

그러면 공적자금 1과 공적자금 2의 운용은 각각 별개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두개를 한번 지원현황의 주체에 따른 비용이 어느 정도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보도자료에 표로 잘 정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옮겨보았으니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기관 금융권 별 출자 및 출연 예금 대지급 자산매입과 부실채권 매입들의 금액들이 표시되어 있답니다.

연도별로 채권의 발행 및 회수자금의 재사용 , 공공자금 등도 잘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회수의 방법과 국제 입찰, abs의 발행 개별 매각, 환매 해제 등등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 정부 등의 현황과 연도별 금액도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공적자금을 만든 이듬해인 98년부터 회수를 시작했는데요. 보시면 2003년까지는 들쑥날쑥하다가 2004년부터는 꾸준히 안정세를 찾으며 회수가 진행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해 보실 수 있답니다.

글로벌 경제 이후 생겨난 공적자금 2의 경우도 PF 대출채권, 일반담보부 채권, 해운사 보유 선박 및 미분양 주택 등등의 내용이 있는데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 회수율 21년 4분기 운용현황 우리 금융지주 매각대금 회수 등 정보 간추려 보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