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과 건폐율 이란 무엇일까 비율 계산방법 까지 알아보자
용적률과 건폐율 이란 무엇일까 비율 계산방법 까지 알아보자
오늘은 용적률이란 ... 건폐율이란 ... 어디선가 들어는 본거 같은데... 이게 뭐지?
라는 생각을 한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의외로 간단하지만 이게 용어상 전혀 감을 잡을 수없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생소하긴 하실 겁니다.
하지만 용어만 어려울 뿐 내용은 보기보다 상당히 쉽다는 점 그리고 이게 왜 필요하고, 또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그리고 본 포스팅에 나오는 건물 사진은 크게 본 내용과 상관없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그냥 함께 올려진 사진이라는 점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용적률과 건폐율 이란 무엇일까 계산방법 까지 알아보자
우선 순서를 건폐율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우선 알아보겠습니다.

건폐율이란 쉽게 말해서 100평이라는 땅 위에 건물을 지을 경우 사용할 수있는 비율을 말합니다.
건폐율이 50%면 100평의 땅위에 최대 50평까지만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겁니다.
내 땅이 100평인데 왜 50%만 지을 수 있어?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은 정해진 법에 따라 대지의 지목과 지역지구에 따라 비율이 이미 정해져 있답니다.
도시 미관과 조망권 , 일조권 등을 고려해서 말이죠!
그러면 50%면 50평인데 25평씩 2층으로 지으면 안 되나?
그래서 용적률이 필요한 것이죠!
그럼 용적률이란 무엇일까요?
위에서 살짝 이야기를 드렸죠? 100평의 대지 위에 건폐율이 50%면 50평까지 최대 건물을 지을 수 있어요.
그러면 용적률은? 층수를 올리는 비율 이라고 쉽게 이해를 하시면 될 것 같아요.
건폐율 용적율 계산방법은 은근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건폐율 50%에 용적률 200%라면... 바닥면적 50평을 4층까지 올릴 수 있다는 말이에요.
어... 그러면... 나는 40평씩 5층으로 올리면 안 돼요? 그것도 가능합니다.
즉 쉽게 정리를 다시 해보자면 건폐율은 최대치가 50%라면 그 안에서 해결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용적률 또한 그 안에서 해결을 하면 돼고요. 이렇게 이야기를 드리면 쉽게 이해가 되셨겠죠?

이것은 국토교통부 토지이용 규제정보 시스템에 들어가시면 소재지별 토지이용계획을 열람해 보실 수 있으니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용적률 비율과 건폐율 비율에 대해서 도시지역인 주거, 상업, 공업, 녹지 이 네 곳만 알아보겠습니다.
용도 지역 구분 | 건폐율 | 용적률 | |
주거지역 | 제 1종 전용주거지역 | 50% 이하 | 50% ~ 100% 이하 |
제 2종 전용주거지역 | 100% ~ 150% 이하 | ||
제 1종 일반주거지역 | 60%이하 | 100% ~ 200% 이하 | |
제 2종 일반주거지역 | 150% ~ 250% 이하 | ||
제 3종 일반주거지역 | 50% 이하 | 200% ~300% 이하 | |
준주거지역 | 70% 이하 | 200% ~500% 이하 | |
상업지역 | 중심상업지역 | 90% 이하 | 400% ~ 1500% 이하 |
일반상업지역 | 80%이하 | 300% ~ 1300% 이하 | |
근린상업지역 | 70%이하 | 200% ~ 900% 이하 |
유통상업지역 | 80%이하 | 200% ~ 1100% 이하 | |
공업지역 | 전용공업지역 | 70% 이하 | 150% ~ 300% 이하 |
일반공업지역 | 200% ~ 350% 이하 | ||
준공업지역 | 200% ~ 400% 이하 | ||
녹지지역 | 보건녹지지역 | 20%이하 | 50% ~ 80% 이하 |
생산녹지지역 | 50% ~ 100% 이하 | ||
자연녹지지역 |
용적률과 건폐율 정보는 간략하게 마무리 지어보겠습니다. 도움이 도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