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경제/경제 금융 주식

상속세 면제 한도액 세율 배우자 자녀 사위 며느리 얼마까지

생각도둑 2024. 2. 21. 00:48
반응형
상속세 면제 한도액 세율 배우자 자녀 사위 며느리 얼마까지

오늘은 상속세 면제 한도액 그리고 세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우자 자녀 사위 며느리 등등 얼마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고, 얼마 이상이면 세금을 더 내는지 등등 평소에 궁금하셨던 내용을 단순하게 풀어서 이야기해드리겠습니다.

 

우선 아셔야 될 것은 살아계실 때 받은 재산은 증여이고, 돌아가신 다음에 받는것이 상속입니다. 

예로 아버지가 살아계실 때 집을 사라고 주신 돈은 증여, 돌아가신다음에 아버지 재산을 가족들이 법에 따라 나누어 가지면 그것은 상속입니다. 이해가 되셨죠? 가끔이 주변에서 부모님이 돌아가셨는데 돌아가시면서 나에게 증여를 했다.

 

또는 살아계신데 아빠가 나한테 상속했다. 이렇게 말하는 분들이 계신데요. 말이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점 이해하고 계세요.

우선 상속 세율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과세 표준액  상속 세율 누진공제액
1 억 이하  10% -
1억 초과 ~ 5억 이하 20% 1천만원
5억 초과 ~ 10억 이하 30% 6천만원
10억 초과 ~ 30억 이하 40% 1억 6천만원
30억 초과 50% 4억 6천만원

상속세 면제 한도액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개별적으로 이것을 알아보기 전에 기초 공제와 인적 공제, 일괄공제 이렇게 세 가지의 공제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볼 상속 면제 한도액은 각각 개별 인적 공제를 주로 궁금해하시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재산 전체를 놓고,  기본적으로 2억 원이 공제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 재산의 2억 원은 빼고, 세금 계산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죠?

 

그리고 인적 공제 우리가 궁금해하는 상속세 면제 한도 개별

배우자는 5억까지 공재를 받을 수 있답니다. 그리고 자녀와 65세 이상의 상속자와 함께 거주하고 있던 직계비속은 1인당 5천만 원, 미성년 자녀는 1천만 원이고 이것을 만 19세가 될 때까지 일수를 산출해서 적용을 합니다.

 

그리고 위에 세 가지 공제 기초, 인적, 일괄 만약 기초와 인적 공제를 더해서 5억 원이 안되면 5억까지 공제가 되는 일괄공제로 하시면 되고요.

기초와 인적 모두를 더해 5억원이 넘어가면 그것으로 공제를 즉, 큰 쪽으로 받으시면 됩니다. 물론 세무사에게 맡기면 알아서 잘해줍니다. 물론 개인이 직접 하셔도 되고요.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가시면 모의 계산을 통해 직접 계산도 해보실 수 있으니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 그리고 세율 배우자 자녀 금액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